지식창고

반응형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가능성이 처음 등장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과 AFP 통신 등 주요 외신이 19일(현지 시각)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준의 돈줄 조이기 시기가 예상보다 당겨질지 주목됩니다.


연준은 지난해 6월부터 매달 1200억달러 규모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작년 12월부터는 “미국 경제가 완전고용과 2% 안팎의 물가상승률이라는 연준의 장기 목표를 향해 ‘상당한 수준의 실질적 추가 진전’을 보여줄 때까지 통화 정책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지속적으로 밝혀 왔습니다.

 

그런데 연준이 19일(현지시간) 내놓은 지난달 27~28일 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보면, 몇몇 참석자들은 “경제가 FOMC의 목표를 향해 계속 빠르게 진전할 경우 향후 언젠가 자산 매입 속도를 조정하는 계획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을 말했습니다.

일부 위원들은 “최근 물가를 올리고 있는 공급망 병목 현상과 원자재 부족 사태가 빠르게 회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며 “올해 이후 물가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고 했습니다. 일부 산업에서는 공급망 교란이 예상보다 더 지속할 수 있습니다고 분석한 위원들도 나왔습니다.



연준 인사들이 공개석상에서 “이번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고 밝히는 것과는 온도차가 확연하다. 미국 물가 지표 등이 예상을 웃도는 상황에서 통화정책의 미세조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조금씩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경기회복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지표에 과잉 반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밝히면서 “연준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제어할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다만 의사록에서 나타난 연준 다수의 인플레이션 시각은 기존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수의 위원들은 “경제가 상당한 추가 진전을 이루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했습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팬데믹 이후 경기가 회복하고 있는 시점”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금은 전례 없는 시기”라며 “앞으로 일어날 어떠한 일에 대해서도 대비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앞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지난달 14일 워싱턴경제클럽이 주최한 화상 토론회에 참석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에서 어떠한 순서로 물러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2013~2014년 연준이 실시했던 테이퍼링을 교과서로 삼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연준은 지난 2013년 12월 벤 버냉키 전 의장 시절 자산 매입 규모를 줄이기 시작했고, 이후 2년 동안은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았습니다.

파월 의장은 당시 기준금리를 올리기 훨씬 전에 테이퍼링에 나설 것이라고 시사했습니다. 그동안 뿌렸던 돈을 충분히 거둬들인 뒤 시장이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가늠해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구체적인 테이퍼링 시점에 대해서는 “미국의 경제 상태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