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고

반응형

이제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올해부터 신입사원 정기공채를 삭제한다고 합니다.그래서 각 현업 부서가 필요한 인재를 수시채용으로로 뽑는 상시공개채용 제도를 도입히는데요 국내 5대 그룹 가운데 처음입니다. 다른 주요 그룹도 조만간 신입사원 채용방식을 정기공채에서 상시공채로 전환될것 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

 
 
 
 

현대·기아차는 올해부터 1년에 두 차례 하던 정기공채를 폐지한다고 13일 발표했는데요  현대·기아차는 일반직 및 연구직 대졸 신입사원과 인턴을 정기공채로 채용해왔는데요 관계자는 “기존 정기공채 방식으로는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이 융복합하는 미래 산업 환경에 맞는 인재를 적기에 확보하기 어렵다”며 “각 부서에 맞는 인력을 필요할 때마다 뽑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기아자동차가 정기공채를 상시공채 제도로 바꾸기로 한 것은 인력을 더 잘 관리하기 위해서입니다. 매년 1만 명에 달하는 신입사원을 동시에 채용하니 채용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현업부서에서 당장 사람이 부족하다고 해도 수개월이 지난 이후에야 추가 인원이 배치되는거죠 

 

 

회사 차원에서도 채용해야 할 인력 규모를 예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까지 서류-인·적성검사-1차 면접-2차 면접 등의 과정을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했는데요  이 과정에만 약 5개월이 소요되었습니다.

 

 

한꺼번에 신입사원을 채용하면 현업부서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제대로 고르지 못합니다.지원자들도 희망하는 직무와 상관없는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 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지금은 인문학과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두루 갖춘 융합형 인재가 요구되는 시대”라며 “부문별로 원하는 인재의 형태는 다른데, 이를 한꺼번에 뽑다 보니 비슷한 인재들만 채용하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말했습니다.

 

 

.

 
 
 

 

올해부터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각 부문은 각자의 채용 방식과 전형 과정을 마련해 채용을 진행하는데요  각 부문은 채용공고를 통해 입사 후 맡게 될 직무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필요한 역량을 상세하게 공개할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부문별로 맞춤형 인재를 고른다는 취지입니다.

 

 

현대자동치·기아자동차는 조직변경과 인력 관리등 기존 인사부문이 맡던 업무도 현업 부서로 이관합니다. 부문별 자율성을 높이고 경영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겠다는 전략입니다.인사부문에 지나치게 많은 힘이 쏠리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결정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삼성과 LG, SK, 롯데 등 다른 그룹들도 대규모 공채를 지양하는 분위기이에요 삼성은 2016년까지 그룹 차원의 공채를 했지만, 2017년부터 계열사별로 인력을 채용하고 있어요  LG도 계열사별 공채를 합니다.관계자는 “갈수록 수시채용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2~3년 내 수시공채가 대기업 채용의 주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취업 준비생들은 참고해서 취업전략을 잘 짜기 바랍니다.

 

 

 

.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