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고

반응형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결핵약 부작용입니다. 약은 몸이아프거나 몸에 문제가 생겼을 때 치료를 하기 위해 먹는 것입니다. 그러나 약이라고 하면 항상 치료만 되는 것이 아닙니다.

 

 

.

 
 
 

 

 대부분 약을 먹으면 병이 다 낫는다고 생각합니다.  약이라도 잘못먹거나 많이 먹게되면 오히려 몸에 해를 가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데요 약 경우를 보시면 어떤 분들은 먹으면 안되는 약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 먹으면 안되고  이런것들이 있어서무작정 먹는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우선 오늘의 주제인 결핵에 대해서 간단히 먼저 알아보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결핵이란 무엇일까요?
결핵은 우리에게는  현재시대에 크게 무서운 병이 아닌데요  하지만 기원전 7천년 경에 흔적이 발견됐다고 합니다.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병이 바로 결핵이라고 합니다.
결핵은 결핵균이라고 하는 바이러스 때문에 생깁니다.  폐결핵 환자들한테서 나온 침들이 수분이 날아가면서 바이러스가 날아다니다 사람 몸속에 들어가 감염이 된다고 합니다.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결핵에 걸리면 대게 나타나는 증상은 기본적으로 기침과 가래가 심해집니다. 증상이 감기랑 거의 비슷한데요 감기에 걸린줄 알고 치료하지 않고 그냥 지내시는 분들이 많아요
감기 증상인 거 같은데 2주가 넘게 지속되고 있으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세요  가래가 많이 나오는데   피가 섞인 가래가 자주 나오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몸에 열이나거나, 신경이 예민해지고, 소화불량 등 다른 증상도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결핵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기침과 비슷한 증상이라 위험성을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꽤나 많습니다.
결핵인줄 모르고 있다가 증상이 심해져 머리가 아파지고 구토가 나거나, 피를 토하는 경우까지 올 수도 있고, 의식 저하 증상이 나타나는 등 가만히 놔둘 문제는 아니게 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치료는 어떻게하나요?
결핵의 치료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해당 균의 살균이 가능한 약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결핵은 1차 약제와 2차 약제로 나뉘는 것처럼 장기간 치료를 요할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결핵약 종류가 궁금하죠?

1차 약제와 2차 약제가 있어요  1차 약제의 경우는 효과가 좋아서 먼저 사용하는 약입니다.
2차 약의 경우는 1차 약제보다 약효가 적고, 부작용이 좀 더 심한 것을 말합니다. 물론 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어 2차 약제로 분류를 해놓았다고 합니다.

 

 

.

 
 
 

결핵약 부작용은 무엇이 있을까요
결핵의 경우는 항결핵제만 잘 드시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폐가 결핵균에 감염됐던 적이 있다면 어쨌든 후유증이 남는다고 합니다. 간혹 결핵균에 앓은 몸의 기관이나 조직에서 폐암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는데요

치료를 빠르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의 경우 결핵약뿐만이 아니라 모든 약이 그렇지만 많이 복용하다 보면 몸에 내성이 생겨 더 강한 약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렇게 결핵약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감기증상이랑 비숫하니 주의 바랍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