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죄 형량에 대해서 안내합니다.어떠한 처벌을 받는지 안다면 쉽게 사기죄를 저지르지는 어려윌텐데요 우선 사기죄가 되기 위해서는 사기죄 성립요건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사기죄가 되려면 사기죄 성립요건에 해당해야 합니다. 사기죄란 사람을 속여서 돈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득을 취득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기라고하면 상대방이 나를 속여 거짓으로 내 재산을 빼앗아것만아니라 더 있습니다.
당사자간의 사기뿐만 아니라 제 3자를 시켜서 사기를 치는 것도 사기죄에 성립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상대방을 속이는 행위를 기망이라고 합니다. 사기가 되는 기망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고 합니다 어떠한 방법으로든 남을 속여서 이득을 얻는 것은 사기죄가 될 수 있습니다.
결혼을 하면서 패물을 노리고 결혼을 가장하는 경우 혼인 사기도 역시 사기죄입니다.무임승차 또한 사기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과대광고처럼 사실이기는 하지만 사실보다 훨씬 과장해서 광고를 하는 경우 역시 자칫하면 사기죄입니다.
어떤 처벌을 받을까?
사기죄 처벌은 10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사기죄 형량은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최대 10년이기 때문에 범죄의 정도에 따라서 기한이 다르게 부과된다고 합니다.
어떤 사례가?
최근에 나오는 사례를 하나 소개해드릴께요 연말이나 연초가 되면 새해의 운을 점처보기위해 점이나 운세를 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사실 점이나 운세 등은 사실 증거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믿을 수 있느냐, 믿을 수 없느냐 분간이 잘 가지 않는데요.
무속인이 이러한 점을 보고 예측을 하거나, 굿을 해야 한다며 큰 돈을 받는 행위는 무속인에 대해 실제로 사기죄로 처벌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
나쁜 일을 당할 수도 있어 굿이 필요하다고 거액을 들여 했는데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죠
이에 대해 법원은 '굿을 하고 실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굿을 해야만 나쁜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사기죄로 처벌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2년간 굿에 대한 돈을 13억원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 무속인은 사기죄로 고소를 당해 사기죄가 인정되어 3년이라는 징역형 처분이 내려졌다고 합니다.사기죄 형량은 사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하기 쉽지 않은 부분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기죄 형량에 대해 안내했습니다.
사기죄 성립요건을 잘 참고하시어 본인이 다른 사람에게 사기를 저지르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또한 내가 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애초에 조심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