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고

반응형

유가증권 등기우편에 대해 안내합니다.상대방에게 선물을 사주거나 하는것보다  현금이나 상품권 등으로 선물을 많이 하는데요. 상품권을 온라인에서 사용할 시 해당 상품권을 등기로 보낼때가 있습니다.

 

 

.

 
 
 

 

 

상품권을 포인트로 전환하거나 상품권으로 결제를 할때 상품권, 즉 유가증권을 등기우편으로 보내라고 문자로 옵니다.

우체국을 가셔서 등기를 부쳐야하는데요 


우체국에서 보내는법은 일단 상품권을 가지고 우체국을 가세요  문화상품권 같은 경우는 은박을 긁어서 그곳에 적힌 숫자를 기입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한 문화상품권은 버려도 되는데요. 이런 백화점 상품권 같은 유가증권의 경우에는 직접 보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등기로 보내야 한다고 해서 봉투에 상품권을 넣어서 밀봉하여 가는 분이 계신데요. 유가증권 등기우편을 보내려면 상품권만 가져가시면 됩니다. 우체국에 가면 유가증권을 보낼 때 쓰는 봉투가 따로 있어 어차피 구입을 해야 합니다.
우체국에 가셔서 유가증권을 등기로 보내러 왔다고하면 알려줍니다.유가증권을 보내는 전용 봉투를 구매하고, 거기에 해당 상품권을 넣고, 주소를 적어서 우체국 직원분께 건네시면 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

 

 
 
 


 

 

 

유가증권의 금액을 확인하고 밀봉을 해야합니다.상품권을 넣고 주소를 적었다고 봉투를 밀봉해서 직원분께 주시면 안 됩니다. 봉투가 열려져 있는 채로 주시면 됩니다.  우체국 직원분께서 금액을 확인하고 등록을 해줍니다.

 

 

금액도 궁금하실텐데요  유가증권을 처음 보내보시는 분들은 이 부분에서 당황스러워 하시는데요. 제 경우 10만원짜리 상품권을 보내든, 1만원짜리 상품권을 보내든 다 비슷한 수수료입니다. 수수료가 생각보다 비싸요
우체국에서 등기우편으로 보내면 비용이 대략 3000원에서 4000원 정도입니다,

만약 상품권 1만원짜리를 보내는데 보내는 비용이 이렇게 많이 들면 좀 그렇죠 ㅋㅋ

 

 

상품권의 가격에 따라 비용이 조금씩 다른데요 일정 금액이 넘어가게 되면 그 초과되는 금액만큼 수수료가 더 붙을 수 있다고하니 큰 금액을 보내시는 분은 참고하세요  그리고 상품권뿐만 아니라 현금도 이렇게 보낼 수 있다고 하네요.
유가증권 등기우편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