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고

반응형

올 1분기 국내 50대 그룹 총수 주식이 3조3000억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룹 총수 중 효성 조석래 명예회장 주식재산이 3000억원 이상 증가한 반면, 셀트리온 서정진 명예회장 주식재산은 2000억원 넘게 감소했습니다.
또 주식재산 '1조 클럽'에 효성 조현준 회장도 새로 입성해 1분기 말 13명으로 늘어났습니다.


6일 한국CXO연구소가 발표한 '2021년 1분기 국내 50대 그룹 총수 주식재산 변동 현황'에 따르면, 조사 대상 53명의 그룹 총수 중 상장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는 41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들의 올 초 주식평가액만 해도 75조8183억원이었는데 3월 말에는 79조1344억원으로 3개월 새 3조3161억원(4.4%↑) 이상 증가했습니다.
상장사 주식을 갖고 있는 41명의 그룹 총수 중 31명(75.6%)이나 1분기에 주식재산이 불어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올 1분기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효성 조석래 명예회장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조 명예회장은 효성 그룹 계열사 중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등 5곳에서 주식을 보유중입니다..

5개 주식종목에서 보유한 주식평가액은 올 초 3886억원 수준이었는데 3월말 6937억원으로 3개월 새 3050억원 이상 증가했습니다.

지분가치가 크게 높아진 것은 조 명예회장이 보유한 5개 주식종목의 주가가 모두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장 큰 효자 주식종목은 ‘효성티앤씨’였습니다. 이 종목에서 올 초 754억원이던 지분가치가 3월말 2030억원으로 1270억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효성첨단소재’ 종목에서도 1046억원(1월초 688억원→3월말 1735억원)이나 주식재산이 크게 늘었습니다. 이외 ‘효성화학’, ‘효성중공업’, ‘효성’ 등 3곳에서 700억원 이상 주식재산이 급증했습니다.


최근 주주총회에서 경영권 분쟁에 승리한 금호석유화학 박찬구 회장도 같은 기간 3079억원에서 5405억원으로 주식재산이 75.5% 급증했습니다.
동국제강 장세주 회장의 주식재산도 1154억원에서 1815억원으로 3개월 새 57.3%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조석래 명예회장의 장남이자 효성그룹 차기 총수로 확실시 되는 조현준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올 초 7117억원 수준에서 3월말 1조1000억원으로 54.6% 늘었습니다.

한국타이어 그룹 총수인 조양래 회장의 올 1분기 주식평가액은 2629억원에서 3450억원으로 31.2% 증가했습니다. 조 회장은 한국타이앤테크놀로지 지분을 다수 보유 중입니다.


이외에도 50대 그룹 총수 중 5명은 1분기에만 주식재산이 2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버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28.7%(1조7960억원→2조3109억원), 현대백화점 정지선 회장 24.5%(3963억원→4932억원), OCI 이우현 부회장 23.4%(1184억원→1460억원), 카카오 김범수 이사회 의장 22.4%(4조9502억원→6조609억원),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 22.3%(3조6716억원→4조4907억원) 등으로 주식평가액이 상승했습니다.

셀트리온 그룹 총수인 서정진 명예회장은 올 초 2조5735억원에서 2조3133억원으로 올 1분기에만 10.1% 내려앉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서 명예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가 하락 부진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최근 경영권 분쟁 터널에서 빠져나온 한진 조원태 회장 주식가치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조 회장의 지분가치는 올 초 2409억원에서 1분기 말 2223억원으로 7.7% 감소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 이재용 부회장의 주식재산은 올 초만 해도 9조5747억원이던 것이 3월말 8조9255억원으로 6.8% 정도 하락했습니다.

1분기에만 6490억원 넘는 주식재산이 증발해 버린 셈이다. 조사 대상 50대 그룹 총수 중 지분가치 하락 금액 규모가 가장 컸다.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엔지니어링 5개 주식종목에서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최종 결정한 LG 구광모 회장 역시 올 초 2조6677억원 상당의 지분가치가 석달 새 2조4887억원으로 6.7% 감소했습니다. 두산 박정원 회장도 1225억원에서 1148억원으로 6.2%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고(故)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주식에 대한 주식평가액은 올 초 24조7112억원에서 3월말 24조2108억원으로 3개월 사이 5000억원 넘게 감소했습니다

 

24조원이 넘는 주식재산에 대한 이 회장의 지분이 향후 유족들에게 어떻게 상속될 것인지에 따라 각 유족이 납부해야 할 상속세 규모 등이 결정됨은 물론, 향후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해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생명복지재단 이사장의 재산 수준도 천양지차 달라질 수 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건희 회장이 보유하던 삼성전자 지분이 이 부회장에 집중될지, 혹은 법정 비율에 따라 유족들이 나눠 갖게 될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 라고 오 소장은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번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 집단 중 동일인에 해당하는 총수가 있는 50대 그룹이다. 50명의 총수와 함께 차기 총수로 유력한 현대차 정의선·효성 조현준 회장은 물론, 아직 지분 변동이 이뤄지지 않은 고 이건희 회장도 조사에 포함했습니다. 다만, 고 이건희 회장의 주식가치는 개별 순위 등에서 제외했습니다. 보유 주식은 해당 총수가 직접 보유한 보통주 주식(우선주 제외)으로 한정했으며, 비상장사 등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주식 등은 제외했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